녹색성장 추진현황

“탄소중립 녹색성장, 환경과 함께 사는 길”
가도 되고 안 가도 되는 길이 아니라 가야만 하는 길이고, 이미 가고 있는 길
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주요 내용
국가비전 및 국가전략
-
비전
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 도모
-
4대 전략, 12대 과제
-
책임감 있는 탄소중립
- 1원전신재생e 등 무탄소 전원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
- 2저탄소 산업구조 및 순환 경제로의 전환
- 3국토의 저탄소화를 통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
-
혁신적인 탄소중립 녹색성장
- 1과학기술 혁신과 규제개선을 통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가속화
- 2핵심산업 육성을 통한 세계시장 선도 및 신시장 창출
- 3탄소중립 친화적인 재정금융 프로그램 구축운영 및 투자 확대
-
함께하는 탄소중립
- 1에너지 소비절감과 탄소중립 국민실천
- 2지방이 중심되는 탄소중립 녹색성장
- 3근로자 고용안전과 기업 혁신성장을 위한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
-
능동적인 탄소중립
- 1적응주체 모두가 함께 협력하는 기후위기 적응 기반 구축
- 2국제사회 탄소중립 이행 선도
- 3모든 과제의 전 과정 상시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
-
구리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추진
- 목표
2030년 구리시 온실가스 배출량 40% 달성을 통한
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 - 비전
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스마트그린도시, 구리
(구리시 5개 부문 20개 추진전략 45개 세부과제)
연번 | 부문 | 추진전략 | 세부과제 | 주관부서 |
---|---|---|---|---|
1 | 건물 |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탄소중립 실현 |
공공건물 제로에너지빌딩(ZEB) 인증 확대 | 건축과 |
2 |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| 환경과 | ||
3 | 환경기초시설의 원활한 신재생에너지 도입 |
구리자원회수시설 태양광시설 설치 | 자원행정과 | |
4 | 물 재이용시설(빗물, 중수도) 설치사업 | 하수과 | ||
5 | 정의로운 전환으로 취약계층 피해 최소화 |
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향상 | 산업지원과 | |
6 |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 보급사업 | 환경과 | ||
7 |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사업 | 환경과 | ||
8 | 탄소중립 시민실천 문화 확산 |
미니태양광 발전소 보급 | 환경과 | |
9 | 시민과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 | 환경과 | ||
10 | 도로 수송 | 지속가능한 그린모빌리티 확충 |
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| 환경과 |
11 | 전기·수소차 충전인프라 구축 | 환경과 | ||
12 | 탄소중립 시대 대중교통 혁신 활성화 |
자전거 이용 인프라 확대 | 도로과 | |
13 |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대기환경개선 |
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| 환경과 | |
14 |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사업 | 환경과 | ||
15 | 흡수원 | 도시 경관 개선을 통한 탄소흡수원 관리 |
도심 속 쉼이 있는 공원 및 녹지관리 | 공원녹지과 |
16 | 사계절 아름다운 수변공원 관리 | 공원녹지과 | ||
17 | 행복 시민의 쉼터 구리한강공원 만들기 | 공원녹지과 | ||
18 | 흡수원을 통한 도시 회복 | 기후변화와 열섬 완화에 대응하는 가로수 관리 | 공원녹지과 | |
19 | 건강한 산림자원 육성과 산지의 효율적 관리 | 공원녹지과 | ||
20 | 녹지율을 높이는 흡수원 공원 조성 |
체육관 근린공원 조성 | 공원녹지과 | |
21 | 도시 녹색정원 조성 | 공원녹지과 | ||
22 | 시민의 쉼터 생태공원 조성 | 인창천 생태복원 사업 완공 | 안전총괄과 | |
23 | 장자호수생태공원 확장 | 공원녹지과 | ||
24 | 자연과 공존하는 생태 농업 도시 구축 |
도시농업 추진체계 구축 | 공원녹지과 | |
25 | 도시농업의 산실 농업공원 조성 | 산업지원과 | ||
26 | 도시농부체험 스쿨팜 | 산업지원과 | ||
27 | 스마트팜 | 산업지원과 | ||
28 | 폐기물 | 순환경제 시대를 위한 현명한 분리배출 |
사물인터넷(IoT) 기반 분리수거함 설치 | 자원행정과 |
29 | 자원절약 및 재활용을 통한 폐기물 발생 억제 | 자원행정과 | ||
30 | 슬기로운 자원순환 이행 실천 |
공공기관 일회용품 줄이기 | 자원행정과 | |
31 | 재활용품 분리배출 교육 서비스 | 자원행정과 | ||
32 |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음식물류 |
음식물류 폐기물 RFID 종량제기기 설치 지원 | 자원행정과 | |
33 | 폐기물 배출량 감량 | 공동주택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추진 | 자원행정과 | |
34 | 환경기초시설 운영 선진화 |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설 개선사업 추진 | 하수과 | |
35 | 구리시 하수찌꺼기 처리시설 개선사업 | 하수과 | ||
36 | 구리자원회수시설 안정적 운영 | 자원행정과 | ||
37 |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설 설치 및 운영 | 하수과 | ||
38 | 갈매수질복원센터 지능화시스템 구축 | 하수과 | ||
39 | 온실가스 감축 촉진을 위한 배출권 시장 거래 활성화 |
폐기물분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| 환경과 | |
40 | 대응기반 | 범시민적 공감대 | 온실가스 1인 1톤 줄이기 캠페인 참여 | 환경과 |
41 | 형성을 통한 탄소중립 추진 | 플라스틱 제로 시민실천 선언 | 자원행정과 | |
42 | 선택과 집중으로 탄소중립 교육 활성화 |
생태체험 프로그램 운영 | 환경과 | |
43 | 함께 만드는 환경교육도시 조성 | 환경과 | ||
44 | 업사이클링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 | 산업지원과 | ||
45 |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강화 | 구리지속가능발전 협의회운영 활성화 | 기획예산담당관 |